Nothing vs Anything vs Something vs Everything – 헷갈리는 4단어 완벽 정리

Nothing vs Anything vs Something vs Everything – 헷갈리는 4단어 완벽 정리


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nothing, anything, something, everything 네 단어가 자주 등장하지만, 막상 문장에 넣을 때는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. 오늘은 이 네 단어의 정확한 차이와 문장 속 쓰임을 예문과 함께 한 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.

✔️ 핵심 요약

  • Nothing: 아무것도 없는 상태 (부정문)
  • Anything: 무엇이든 / 아무것도 (의문문·부정문)
  • Something: 어떤 것 / 무언가 (긍정문)
  • Everything: 모든 것 (완전 긍정)

1. Nothing – 아무것도 없는 상태

“Nothing”은 ‘아무것도 없다’는 뜻으로, 부정의 의미를 스스로 지니고 있습니다. 따라서 문장에 다시 not을 쓰지 않습니다.

예문:

  • There is nothing in the box. → 상자 안에는 아무것도 없어.
  • I have nothing to say. → 할 말이 없어.
  • Nothing can stop us now. → 이제 아무것도 우리를 막을 수 없어.

👉 부정문을 만들 때 “I don’t have nothing”이라고 하면 ❌ 이중부정이 되어 문법 오류입니다. 정확히는 I have nothing 또는 I don’t have anything을 써야 해요.

2. Anything – 무엇이든 / 아무것도

“Anything”은 문맥에 따라 긍정·부정·의문문 모두에서 쓰일 수 있지만, 기본적으로는 ‘무엇이든 / 아무것도’의 유연한 형태입니다.

예문:

  • Do you want anything to drink? → 마실 거 뭐라도 줄까?
  • I don’t know anything about it. → 난 그 일에 대해 아무것도 몰라.
  • You can do anything if you try. → 노력하면 뭐든 할 수 있어.

TIP: 부정문에서는 “아무것도”의 의미, 긍정문에서는 “무엇이든”의 의미로 바뀌어요.

3. Something – 어떤 것 / 무언가

“Something”은 긍정문에서 주로 사용됩니다. ‘어떤 것’, ‘무언가’라는 뜻으로,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대상을 가리킬 때 쓰죠.

예문:

  • I have something to tell you. → 너에게 할 말이 있어.
  • Something smells good. → 뭔가 좋은 냄새가 나.
  • There’s something in my eye. → 눈에 뭐가 들어갔어.

의문문에서도 “something”을 쓸 수 있지만, 보통 상대방이 긍정적인 대답을 하길 기대할 때 사용합니다.

예: Did you buy something special? (특별한 거 샀어?)

4. Everything – 모든 것

“Everything”은 긍정형의 끝판왕입니다. ‘모든 것, 전부’라는 의미로, 전체를 아우르는 느낌을 줍니다.

예문:

  • Everything is fine. → 모든 게 괜찮아.
  • I love everything about you. → 너의 모든 것이 좋아.
  • He lost everything in the fire. → 그는 화재로 모든 걸 잃었어.

이 단어는 문장 내에서 단수 취급을 받기 때문에 “Everything is”로 써야 합니다. “Everything are” ❌ (틀림)

5. 네 단어 한눈에 비교표

단어 기본 의미 주로 쓰이는 문장 형태 예문
Nothing 아무것도 없음 부정문 There is nothing to eat.
Anything 무엇이든 / 아무것도 의문문 / 부정문 / 조건문 Did you eat anything?
Something 어떤 것 / 무언가 긍정문 I saw something strange.
Everything 모든 것 긍정문 Everything is possible.

6. 헷갈리는 문장 비교로 마무리!

  • I didn’t see anything. → 나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. ✅
  • I saw nothing. → 나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. ✅ (의미 동일)
  • I didn’t see nothing. → ❌ 이중부정

이처럼 “nothing”은 스스로 부정의 의미를 가지므로, 문장 안에 “not”을 함께 쓰면 문법적으로 틀리게 됩니다.

정리 요약:

  • Nothing = 아무것도 없다 (부정 강조)
  • Anything = 무엇이든 / 아무것도 (유연한 표현)
  • Something = 어떤 것 (긍정적인 무언가)
  • Everything = 모든 것 (완전 긍정)

오늘의 핵심: “nothing”은 부정 자체, “anything”은 문장에 따라 의미가 바뀌고, “something”은 긍정적인 느낌, “everything”은 전체 긍정을 뜻합니다. 이 차이만 명확히 알아도 영어 문장이 훨씬 자연스러워져요.

다음 포스팅에서는 “Someone vs Anyone vs No one vs Everyone”을 주제로 또 한 번 정리해드릴게요. 😉

댓글 쓰기

다음 이전